본문 바로가기

개발공부/Python

(7)
[파이썬 입문 4] 문자열 포매팅, 탈출 문자 4. 문자열 포매팅지금까지 문자열과 문자열을 하나로 연결할 때는 +연산자나 쉼표를 사용했다.+연산자를 사용하면 문자열 사이를 띄어 쓰지 않고 연결하지만,쉼표를 사용하면 문자열 사이를 한칸 띄어 쓴 채 연결하는것을 배웠다.또한, 문자열과 다른 자료형을 연결하려면 형변환을 해야한다.그런데 형변환 없이 문자열과 다른 자료형을 연결하는 방법이 있다.원하는 위치에 특정한 값(또는 변수)를 넣어서 하나의 문자열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문자열 포매팅(string formatting) 이라고 한다.4-1. 서식 지정자 사용하기첫번째 방법으로는 서식 지정자(format specifier)를 사용하는 방법이다.서식 지정자는 자료형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 뒤에 자료형을 나타내는 문자가 붙는다.%d : 정수(decimal)%..
[파이썬 입문 4] 문자열(슬라이싱, 함수) 1. 문자열이란?문자열은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앞에서 배운 내용과 같이 한글이나 알파벳 등으로 작성한 글자를 작은 따옴표 또는 큰따옴표로 감싸서 문자열임을 나타낸다.sentence1 = "나는 소년입니다."print(sentence1)# 출력 결과# 나는 소년입니다.1-1. 긴 문자 출력하기문자열을 여러 줄에 거쳐 작성해야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이럴때에는 따옴표를 각각 3개씩(큰따옴표 작은따옴표 상관없이 / 하지만 하나의 종류로만 작성되어야함) 넣어 앞뒤로 감싸면 된다.sentence2 = """안녕하세요.반갑습니다.파이썬 공부중입니다."""print(sentence2)# 출력 결과#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파이썬 공부중입니다.작은따옴표로 감쌌을때도 잘 출력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하지만 출력..
[파이썬 입문 3] 연산자 1. 연산자앞의 챕터에서 이미 몇가지 연산자를 살펴보았다.값을 부정하는 not 연산자와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하는 = 연산자를 살펴보았다.또, 문자열과 변수를 + 연산자로 연결했었다.이처럼 파이썬에는 다양한 연산자가 있는데, 이것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보자.1-1. 산술 연산자연산자(operator)는 프로그래밍에서 연산할 때 사용하는 기호이다.일반적으로 수학에 나오는 연산 기호를 파이썬에서도 연산자로 사용한다.먼저 사칙연산 기호부터 살펴보자.사칙연산 기호는 수를 연산하는데 사용하기때문에 산술 연산자라고 한다.산술 연산자는 이미 숫자 자료형에서 수식을 다룰 때 이미 만나본 적 있다.코딩을 할때는 곱하기를 할때는 * 를 사용하고, 나누기를 할때는 / 를 사용한다.(더하기는 +, 빼기는 - 로 우리가 알고..
[파이썬 입문 2-6] 문제 풀이 : 역 이름 출력하기 1. 실습문제풀이문제 조건변수명은 station으로 한다.값은 변수에 '사당, 신도림, 인천공항'순으로 저장한다.실행결과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와야 한다.변수에 "사당"을 넣었을 때사당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변수에 "신도림"을 넣었을 때신도림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변수에 "인천공항"을 넣었을 때인천공항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문제풀이station = "사당"# station = "신도림"# station = "인천공항"print(station + "행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그리고 주석을 하나씩 바꿔가면서 풀어주면 끝!2. 셀프체크풀이문제 : 변수를 사용해 택배의 배송 상태를 안내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조건변수명은 status로 한다.값은 변수에 '상품준비, 배송 중, 배송 완료'..
[파이썬 입문 2-5] 주석 1. 주석(Comment)이란?짧게 짧게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메모를 하지 않더라도 내가 이 코드를 왜 이렇게 썼는지 알고 있다.하지만 코드의 양이 방대해지게 된다면 '내가 이때 왜 이렇게 썼더라?' 라던지, '이게 뭐였더라'하는 순간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이럴때 추가 설명 혹은 부연 설명을 적어 놓는다면 나뿐만 아니라 다른 누군가와 함께 코드를 작성하는 경우에도 서로 이해할 수 있게 될것이다.이런 경우에 주석(comment)을 사용하면 좋다.주석은 보통 코드가 어떤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지, 이 문장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왜 이렇게 썼는지, 주의해야할 점은 무엇인지, 추가로 알아야 할 내용은 무엇인지 등을 설명해야 할 때 사용한다.주석은 프로그램 안에 작성하지만,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
[파이썬 입문 2-3,4]불(boolean) 자료형, 변수, 형변환 거짓말 탐지기를 사용할 때는 '네' 혹은 '아니요' 둘 중 하나로만 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합니다.파이썬에서도 이렇게 둘 중 하나로만 답이 나올 때 불(boolean)이라는 자료형을 사용한다.1. 불(Boolean) 자료형불 자료형은 코드에서 참과 거짓을 판단할 때 사용하며, 참을 의미하는 True와 거짓을 의미하는 False값만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서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5 > 105는 10보다 작은데 크다고 표기하였으니 해당 부등식은 거짓이 된다.하지만 위 수식을5 이 수식을 그대로 print()에 넣어 출력해보자.print(5 10)# 출력 결과# True# False첫번째 수식은 참이므로 true를, 두번째 수식은 거짓이므로 False를 출력한다.1-2. boolean 자료형의 값을 그대로 ..
[파이썬 입문 2-1,2] 숫자자료형, 문자열 자료형 자료형과 변수란?자료형(data type) : 말 그대로 데이터(자료, data)의 형태(type)을 의미한다.여기서 데이터는 123, abc, 가나다 같이 프로그래밍에 사용하는 값을 의미한다.(보통 데이터와 값은 혼용해서 사용하므로 같은 의미라고 생각하면 된다.)이러한 값은 변수에 담아 사용할 수 있다.1. 숫자 자료형가장 기본적으로 파이썬에서는 print()라는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print()는 ()안 내용(값)을 화면에 출력하라는 뜻의 명령어이다.해당 명령어를 통해 자료형이 무엇인지 확인해보자.수에는 1, 2, 3과 같은 정수와 1.2, 3.14와 같은 실수도 있다.이처럼 숫자로 된 데이터를 숫자 자료형이라고 한다.숫자 자료형에는 정수형도 있고, 실수형도 있다.1-1. 양수(정수) 출력하기p..